뉴스다 최광묵 기자 |
오산시와 화성시 두 도시가 2002년 환경 문제 해결을 효율적으로 해결하고 시설 중복 투자를 방지하여, 상호 협력을 강화하는 계기를 마련한 일명‘2002 환경빅딜’을 놓고 오산시가 신설 하수처리장 설치와 지역 민원을 이유로 동탄에서 유입되는 하수와 분뇨를 화성시 자체 처리할 것을 요구하며 두 지자체가 당시 협약을 놓고 설왕설래하고 있다.
오산시 입장은 현재 동탄 처리 구역의 하수(36,684㎥/일)는 오산 제2 하수처리장에서, 화성시 발생 분뇨(200㎥/일)는 오산 분뇨처리장에서 위탁 처리하고 있다. 다수의 공문을 통해 위탁하수량 초과 유입, 처리장 내 이물질 유입 등으로 운영에 어려움이 증가하고 있으며, 분뇨처리장의 경우 인근 주민, 오산천 및 오산역 이용객으로부터 악취 민원이 대폭 증가하고 있다. 또한, 오산시 관내 개발사업 증가로 2028년부터 급격한 하수량의 증가가 예상되어 현재 하수처리장의 신증설 및 기존 오산 1,2하수처리장이전, 분뇨처리장 폐쇄를 계획 중에 있어 2028년부터 화성시의 하수 및 분뇨를 자체 처리할 수 있도록 검토 바란다는 내용이다.
이에 화성시는 오산시가 지난달 발송한 공문을 기초로 하여 내부 검토를 진행하고 있는 상태로 알려졌다.
문제는 화성시는 100만 인구의 특례시 출범, 오산시는 50만 인구를 계획 목표로 하는 상황에서 환경기초시설은 협약 당시의 효율성과 시설 중복 투자의 문제를 뛰어넘는 지자체의 필수 시설로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동탄 개발 시점 오산시 인구 도시개발 현황이 시설 용량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화성시와 협약을 통해 하수 분뇨는 오산시가, 생활폐기물은 화성시가 처리하는‘2008년 환경기초시설 공동 설치 협약’까지 체결했으나, 현재는 세교 2,3지구 개발로 신규 인구 유입에 따른 환경기초시설이 필요해진 시점이다.
한편, 인접 지자체 간의 환경 협약은 공공이라는 명분에 중복투자 방지에 따른 재정적 효과는 있을 수 있으나, 관련 지역 주민 갈등, 주민 불편, 지역 개발 등의 안고 있는 문제점은 해결해야 할 숙제라고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