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다 최광묵 기자 |
화성특례시 봉담읍 동화리에서 추진된 지하도로와 방음터널 사업이 지역 상권을 사실상 마비시키며 주민들이 부분 철거와 용적률 완화를 요구하고 있다.

▲ 봉담 지하차도 설치 문제를 설명하고 있는 주민 대표 모습(사진제공=뉴스다)
이 사업은 교통 개선을 위한 명분으로 시작되었지만, 결과적으로는 상가의 시야를 차단하고 매출을 급감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했다. 주민들과 상인들은 “공사 이후 손님이 끊겼다”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봉담읍 동화리 일대에 설치된 지하차도와 방음터널은 지역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다. 상가 앞을 가로막은 방음터널 벽체는 건물의 가시성을 떨어뜨리고, 차량 진입 동선도 불편하게 만들어 일부 점포는 매출이 70% 이상 감소했다. 이로 인해 공실률도 급증하고 있다. 문제의 핵심은 방음터널 구조물로, 유리 재질의 방음벽이 도로와 상가 사이를 완전히 차단해 시야 확보가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교통 소음을 줄이기 위한 취지였지만, 실제로는 상권의 접근성을 떨어뜨리고 '벽 뒤 상가'를 만들어버린 상황이다. 상인들은 수차례 민원을 제기했지만, 화성시는 “LH 사업 구간이라 시가 개입할 수 없다”며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 한 상인은 “민원 넣으면 시청은 LH로, LH는 시청으로 돌린다”며 “대체 누가 이 구조를 승인했는지 모르겠다”고 불만을 표출했다.
지하차도 개통 이후 상권은 급격히 침체되었고, 일부 상가의 절반 이상이 비어 있으며, 남은 점포들도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해 폐업을 고민 중이다. 보행자 접근성도 크게 떨어졌고, 기존 보도는 터널 구조물로 막혀 우회해야 하며, 야간에는 조명 사각지대가 생겨 주민 안전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주민들은 방음터널의 전면 철거가 어렵다면 부분 철거나 구조 보완이라도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지하차도 주변 상권이 이미 기능을 잃은 만큼 지구 지정을 통해 용적률을 완화해 달라”는 요구도 제기되고 있다. 이는 향후 재건축 및 증축 시 행정 인센티브를 부여해 피해를 실질적으로 보상하자는 취지이다.
한 주민은 “행정이 만든 구조물로 재산 가치가 반토막 났는데, 아무 대책도 없다”며 “보완이 불가능하다면 도시계획 변경으로라도 보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안이 단순한 민원이 아니라 도시 설계와 행정 절차의 총체적 실패라고 지적하고 있다. 교통 효율만을 앞세운 계획이 지역 경제와 생활권을 무너뜨린 대표적 사례라는 것이다.
도시계획 전문가는 “지하차도나 방음터널은 구조적으로 주민과 시각·동선을 단절시킨다”며 “사전 주민 협의 없이 밀어붙이면 이런 결과가 반복된다”고 경고했다. 문제의 지하차도 문제를 수년째 대변해 온 동화리 상인연합회 양재일 회장은 “시·도의원과의 면담, 국민권익위원회를 통한 수차례 민원에도 주민들의 고통은 끝이 보이지 않고 있다”며 “이제는 화성시가 나서 문제의 원인과 결과 분석을 통해 수원시에서 화성시로의 최일선 지역인 봉담읍 동화리의 애환을 보듬어 줄 차례”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민들은 상권 회복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상인들은 매출 감소로 인해 생계가 위협받고 있으며, 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시급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방음터널과 지하차도의 설계가 주민들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채 진행된 점은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상인들은 “이런 상황이 계속된다면 더 이상 장사를 할 수 없다”며 절박한 심정을 드러냈다. 주민들은 “상권이 회복되지 않으면 지역 사회 전체가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이들은 “행정이 나서서 문제를 해결해 주길 바란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상권의 회복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한 대책이 필요하다. 주민들은 “상권이 다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방음터널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최소한 부분 철거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상가의 시야를 확보하고,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고 강조하고 있다.
또한, 주민들은 “지하차도와 방음터널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분석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이들은 “행정이 주민의 목소리를 듣고,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 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상인들은 “이제는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며 “즉각적인 조치를 요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